재테크

일본 펀드 ETF 분석

탈중국의 수혜국가, 오랜 디플레이션 끝에 이제 가격 경쟁력까지 갖춰가는 제조업 강국, 요즘 관심이 뜨거운 일본에 투자하는 펀드와 ETF들을 비교 분석해 보았습니다.

일본에 투자하는 펀드 ETF들이 벤치마크로 삼는 Index는 크게 2가지입니다. TOPIX와 Nikkei225. TOPIX는 Tokyo Price Index의 줄임말이며, 도쿄증권거래소의 최우량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는 1부 상장기업들을 시가총액 방식으로 합산한 것입니다. 미국에 상장된 iShares MSCI Japan ETF(티커 EWJ)의 경우도 시가총액 방식을 사용하고, 상장기업의 85%를 커버하는데 TOPIX와 많이 흡사합니다.

Nikkei225는 거래소가 아닌 니혼게이자이신문(이하 니케이)이 발표하는 Index입니다. 시장을 대표하는 225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이한 것이 시가총액이 아닌 가격 가중 방식을 이용합니다. 이 방식을 사용하는 Index는 DOW와 Nikkei225 밖에 없는데, 과거에 Index 계산이 용이하다는 이유로 사용되었던 방식이지만 유상증자나 무상증자 등의 변동 사항을 반영하지 못해서 실제 시장과 괴리가 벌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1969년에 TOPIX가 등장하면서 시장의 대표성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뉴스에서 많이 인용되며, 선물옵션시장에서는 TOPIX보다도 Nikkei225가 더 대표성을 가지고 많은 파생 상품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 특이합니다.

TOPIX와 Nikkei225의 섹터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TOPIX
Nikkei225
TOPIX는 산업재, 자유소비재, 정보기술, 금융, 헬스케어의 비중이 높은 편이고, Nikkei225는 정보기술, 자유소비재, 산업재, 통신, 헬스케어 순서로 비중이 높습니다. 둘의 가장 큰 차이는 금융의 비중 차이인데, 일본의 금융 산업 규모를 생각하면 Nikkei225가 대표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연히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산업재 비중도 높긴 하지만 실제 규모에 비해 비중이 낮습니다. 국내 출시된 상품들은 TOPIX를 기반으로 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피델리티재팬, 우리재팬 펀드가 그렇고 삼성일본중소형 펀드는 MSCI Japan 인덱스에서 파생된 스몰캡인덱스를 기반으로 합니다. 해당 펀드들과 니케이기반 ETF들의 최근 성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벤치마크에 따른 상품과 주요 편입 종목 등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s://blog.naver.com/plainvanilla_invest/223084726433

일본 펀드 ETF 분석

버크셔 해서웨이가 일본의 상사 기업들의 지분 신고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고, 여러 투자 구루들이 일본 투...

https://blog.naver.com/plainvanilla_invest/223084726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