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연금저축, 어떻게 받으면 될까
보통은 연금저축을 시작할 때 세액공제 혜택과 운용에 대한 고민을 합니다. 하지만 그전에 수령에 대한 부분을 알고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https://www.therich.io/community/articles/646af44da92e1f00371fa157연금저축계좌를 운용하면 세액공제를 해주고 운용 수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대신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할 때 연령에 따라 3.3~5.5%로 과세합니다. 연금납입액의 세액공제율 13.2% 또는 16.5%(연소득에 따라 차등), 그리고 이자/배당에 대한 원천징수 세율 15.4%에 비하면 세율이 낮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낮은 세율로 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조건이 있습니다. 1) 연금 관련 계좌에서 세액공제를 받은 원금 2) 연금 관련 계좌에서 발생한 운용 수익 이 두가지 재원을 10년 이상 기간에 걸쳐 연 1,200만원 이내로 인출해야 합니다. 10년 이상 기간으로 일정한 비율로 인출하지 않으면 16.5%의 기타소득세가 과세되고 연 1,200만원을 초과하여 인출하면 종합소득세에 합산 과세하거나 16.5%의 기타소득으로 과세하는 방법 중 선택해야 합니다. 그래서 절세 효과를 최대한으로 누리려면 연금계좌에서 연간 1,200만원 만 인출해야 합니다. 그런데 연금계좌에 3억원이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연 4%의 수익이 발생하면 인출한도 1,200만원이 소진되서 적립금이 소진되지 않습니다. 연초 연금인출을 가정해 운용수익률별 잔고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주객이 전도된 연금저축
연금저축을 왜 하시나요? 보통 돌아오는 대답은 “세액공제 때문에…”입니다. 틀린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세액공제가 연금저축의 목적이 되면 안 됩니다. 세액공제가 목적이면 연금저축 투자금은 세액공제를 받고 나면 잊혀지고 방치됩니다. 목적을 달성했으니까요. 아쉽게도 실제 이런 경우가 많습니다. 저축의 목적은 소비입니다. 연금저축을 하면서 어떻게 받을지 생각해 본...
https://www.therich.io/community/articles/646af44da92e1f00371fa15730년 이상 연금인출을 할수 있고 생하고 수익률이 연 3%이상이라면 사실상 종신 연금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의문이 생깁니다. 첫번째. 연금저축으로 3억원을 모을 수 있을까? 안될 것 같지만 적립기간이 길어지면 의외로 거액이 됩니다. https://www.therich.io/community/articles/646c12f83e312100337838fa두번째. 연 1,200만원, 월 100만원, 그것도 세전으로 생활이 가능할까? 연 1200만원으로 당연히 불가능하겠죠. 보완을 해야 합니다. 퇴직연금이 일순위가 되고 미덥진 않지만 국민연금이 이순위가 되겠죠. 이 둘의 대안으로는 주택연금과 보험이 대표적이고요. 그런데 절세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연 1,200만원의 한도는 제도 정비를 통해 한도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출금액이 늘어나는 경우를 포함해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게시글을 참고해 주십시오. https://blog.naver.com/plainvanilla_invest/222923984386연금저축, 얼마까지 적립이 가능할까?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는 연 600만원, 월 50만원입니다. IRP에 추가 납입까지 한다면 연 300만원이 추가되어 연 900만원, 월 75만원을 납입하면 세액공제를 최대한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월 50만원,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을 수도 있는 금액입니다. 하지만 납입액이 20년 이상의 기간과 수익률이 합쳐지면 상당한 힘을 발휘합니다. 연금저축으로 만들...
https://www.therich.io/community/articles/646c12f83e312100337838fa마르지 않는 황금연못 만들기_2부 연금저축 적립 목표액
마르지 않는 연금재원 연금저축 적립액이 얼마나 되면 평생연금 재원이 될 수 있을까요? 투자에 대해 어느...
https://blog.naver.com/plainvanilla_invest/222923984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