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해외주식
웅드리치
2022.8.29 23:51 · 조회수 1081

파라마운트 강력한 오리지널 콘텐츠로 스트리밍 서비스 점유율 확보(PARA 목표주가, 전망)

파라마운트는 1912년 설립되었고 90년대 초반에 Redstone 패밀리에게 인수되었다

TV, 케이블, 스트리밍, 영화 등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미디어 그룹 중 하나임

굉장히 오랜 역사를 가진 영화 제작사로 최근 스트리밍 분야의 거물들과 경쟁하는 중이다



변화하는 영상 시장

디즈니, HBO, Paramount는 모두 넷플릭스의 점유율을 뺏어오는 중이다

앞서 말한 오래된 미디어 그룹은 뛰어난 지적 재산권 및 카탈로그 덕분에 DTC/스트리밍 비즈니스에서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는 중임

가까운 과거에 몇 년간 인기를 잃었었지만 스트리밍 분야에 진출하며 다시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있고 영상 리소스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파라마운트는 최근 탑건 매버릭, 스타 트랙, 스폰지밥 스퀘어팬츠, 갓 파더, 사우스 파크, 미션 임파서블, 터미네이터, 소닉, 패트롤, 스크림, 쿵푸 팬더 등을 Paramount+ 스트리밍 플랫폼에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점점 더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는 중이다

[Disney+(2억 2100만),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1억 2000만), WarnerBros Discovery(9200만), 파라마운트(4300만)]

파라마운트 구독자 수 추이
Statista ViacomCBS였던 파라마운트는 최근 버크셔 해서웨이의 투자를 받고 있다 좋은 소식이지만 이것이 버핏의 투자인지, 다른 관리자인 Todd Combs와 Ted Weschler의 투자인지 명확하진 않다 미디어 투자 전문가인 웨슐러의 투자일 가능성도 높다 최근 버크셔는 지분율 12.9%로 파라마운트의 2대 주주가 됐다 2017년 CBS와 합병한 이후 파라마운트 그룹의 매출은 260~290억 달러, 역업 이익은 50억 달러에 달한다 회사의 170억 달러의 시가총액, 310억 달러의 기업 가치 및 안정적인 현금 창출 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내용을 번다면 버크셔가 파라마운트에 왜 투자했는지 버크셔의 투자 전략을 본다면 쉽게 알 수 있다 스트리밍 기업들의 전쟁으로 서로가 서로의 인수 대상이라는 인식이 투자자들에게 퍼지고 있다 파라마운트는 영상 다각화 측면에서 많은 카탈로그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스트리밍 서비스 리더가 될 재정적 수단이나 전문가가 없는 상태임 이런 이유로 아마존 프라임과 같은 대형 회사가 디즈니 플러스나 넷플릭스, 파라마운트와 같은 스트리밍 플랫폼을 인수하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아 보인다 밸류에이션 파라마운트의 PER은 10~12배, EV/EBITDA는 8~9배로 비교적 싼 편이다. 영업 이익 14.2%, 순이익 15.9%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밸류에이션은 현재 주식에 부여된 프리미엄을 정당화하게 만든다 현재 경영진은 새로운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스트리밍 서비스 전쟁에 집중하기 위해 주주 환원 정책을 크게 줄인 상태다(Viacom의 자사주 매입 규모보다 많이 줄어든 상태) 이러한 정책을 통해 경쟁업체에 비해 경쟁 우위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특히 Warner Bros Discovery) 이런 경쟁 우위로 파라마운트가 성장을 위해 새로운 콘텐츠를 계속 개발하게 만들고 워너 브로스 디스커버리는 부채를 줄이기 위한 비용 최적화를 하게 만드는 이유로 볼 수 있다 스트리밍 경쟁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련된 대형 미디어 그룹(Paramount, Disney, Netflix, Amazon 등)은 예외 없이 수익성이 높아 개발자금을 조달하는 레거시 자산 전략을 취하고 있다. 파라마운트에는 CBS, 영화, TV 등이 있고, 디즈니에는 테마파크와 케이블 카탈로그가 있다 Warner Bros Discovery에는 HBO+ 출시를 위한 카탈로그가 있다 하지만 넷플릭스의 경우 고객 충성도를 유지하기 위해 신규 오리지널 콘텐츠를 계속해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자본 확보를 시장에 크게 의존하는 상태다 더 많은 내용은 블로그 확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https://blog.naver.com/kjogogo1/222861815239

웅드위치 주식투자 재테크 :)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kjogogo1/222861815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