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
연금저축펀드 미국 S&P500 ETF KODEX TR vs Tiger PR 뭘 매수해야할까?
올해 주식시장에 발 담고 있는 분들은 뼈저리게 느끼고 있을 것입니다. 아, 지수추종에 투자할걸... 저 역시 지수추종 ETF가 수익률이 그나마 방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왜 우리는 지수에 투자해야하는지 정확하게 보여주는 요즘인데요. 특히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인기가 좋습니다. S&P500 지수는 워런 버핏이 아내를 위한 유언장에 유산의 90%를 투자하라고 한 지수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지수추종 ETF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약세장이 지속되면서 위험분산이 투자자들의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서학개미들이 위험분산 수단으로 선택한 것은 미국 지수형 ETF. 개별 종목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기보다는 지수형 ETF로 시장 전체에 분산투자하면서 상대적인 안정성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로 보여집니다. 다시 말해 강세장일 때는 초과 수익을, 약세장일 때는 시장 평균 수익률을 목표로 많이 옮겨오고 잇습니다. 실제 한국예탁결제원이 발표하는 자료를 보면 지수추종 ETF로 돈이 많이 몰리고 있습니다. 아직도 레버리지에 많은 돈이 몰리고 있긴 하지만요. KODEX 미국 S&P500 TR vs Tiger PR 국내에도 점점 국내상장 해외 etf가 출시되고 있는데요. 이 중에서도 특히 tr 상품과 pr 상품에 대해 이해해야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KODEX Snp500 TR 미국 증권시장에 상장된 대형주 500개 종목에 투자할 수 있는 ETF 입니다. 현물지수를 추종하고 연금저축, 퇴직연금 연금계좌에서도 투자가능합니다. 환노출 상품으로 환율 변동에 주가는 영향을 받습니다. 역시 애플이 가장 큰 비중 그 뒤로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테슬라 순입니다. 업종도 다양합니다. 섹터별 비중을 살펴보면 IT(26.6%), 헬스케어(13%), 자유소비재(12.4%), 금융(11.3%), 통신서비스(10.9%) 등 각 분야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배당금을 재투자해 자산을 늘려 나가는 TR ETF KODEX 상품이 좋다는 이유는 분배금을 투자자에 지급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재투자 합니다. 이는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토탈리턴이라고 하여 TR이라고 칭합니다. 배당금을 재투자하면 자연스럽게 더 많은 자산을 굴릴 수 있고, ETF를 매도할 때까지 배당소득세를 부과하지 않아 과세이연 효과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해봅니다. Price Return(PR) = 자본차익 Total Return(TR) = 자본차익 + 분배금 프라이스 리턴(PR) 상품은 구성 종목, 주가 등락만 반영합니다. 우리가 자주 접하는 상품들 S&P500, 나스닥 100은 종목명 뒤에 PR은 생략됩니다. 반면 Total Return(TR)은 배당(분배금)을 주가 등락뿐만 아니라 배당 수익까지 반영합니다. 이는 배당금 재투자 및 절세 효과가 있습니다. 국내 주식의 경우 배당금의 14% & 지방세 1.4%가 더해져 총 15.4%의 배당 소득세를 부담해야 하는데 반면 TR ETF의 경우 배당금을 따로 분배받지 않기 때문에 배당 소득세를 낼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 ETF의 경우 팔 때 세금이 없는 반면, TR ETF의 경우 매도 시 보유 가긴에 따른 과세에 대한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TR은 과세이연효과가 있기 때문에 보유기간이 늘어날수록 원래 납부해야 하는 세금을 재투자하여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장기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분들은 중간에 배당소득세를 받지 않길 원하고 또한 남는 자투리 돈이 없도록 자동으로 재투자되길 선호하는 분들은 TR상품을 선호하게 됩니다. 그럼 어디에 투자해야할까? 일반 ETF 상품이라면 분배금을 받으면 배당소득세 15.4%를 과세당합니다. (단 연금저축 계좌는 배당소득세가 비과세)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입니다. 반면 TR 상품은 분배금 재투자로 비과세입니다. 배당금이 없으니 ETF를 매도하기 전까지는 세금이 과세이연 됩니다. 총 수수료율 TER을 보더라도 TR 상품이 조금 더 저렴합니다. 수수료는 얼마 하지 않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크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각자 상황에 맞는 여건에 따라 거래량이 가장 많고 운용사가 가장 큰 Tiger 상품을 선택할지 배당 재투자를 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kodex 상품을 선택할지는 결정하면 됩니다. 국내상장 해외 ETF와 해외 직접 투자 ETF 세금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앱 내 이미지가 깨지는 부분은 본문을 참고하시면 보기 편합니다. https://blog.naver.com/jongy0644/222792355377#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 #나스닥100etf #s&p500etf #TIGER나스닥100 #KODEX나스닥100 $KODEX 미국나스닥100TR $KODEX 미국S&P500TR기록하는 투자노트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ongy0644/222792355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