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자산 배분 전략 올웨더 전략

김성일 작가님과 강환국 작가님의 책과 영상에서 얻은 자산배분 전략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1) 4개의 시나리오에 대응하라 자산군이라는 거는 주식도 있고 채권도 있고 실물 자산도 있고 달러화가 있습니다. 그런데 경제성장이라는 것도 있고 물가 상승 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따라서 경제 성장이 높을 때도 있고 낮을 때도 있고 또 물가 상승도 높을 때도 있고 낮을 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4개의 시나리오가 생깁니다. 그 시나리오별로 좋은 자산군이 주식이라든지 회사채 라든지 원자재 금이라든지 신흥국 채권이라든지 이런 애들이 올라주고, 경제가 안좋다고 하면은 돈이 안전자산으로 몰리고 금리가 떨어지기 때문에 미국 국채도 오르고 물가연동채권도 오릅니다. 그리고 물가가 상승하면은 당연히 원자재 물가가 많이 오르고 물가 연동채권 그러니까 인플레이션 같이 상승하는 물가연동채권에 돈이 몰리게 되고 그리고 신흥국 채권에도 돈이 몰립니다.
그 이유는 신흥국은 물가가 상승하면 원자재를 많이 팔아가지고 그 국가의 신용도가 높아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물가가 하락 하면 주식이나 미국 국채가 좋습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것처럼 경제 계절이 이렇게 있는데 계절마다 잘나가는 자산군이 있습니다.
우리가 사실 경제 예측이 가능하다고 하면은 자산 배분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근데 안타깝게도 인간이 예측을 할 수가 없습니다. 신의 영역이나 다름 없죠... 결국 우리는 예측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어떤 경제 상황이 와도 상관없이 이 포트폴리오는 안전하게 자산 배분을 하는 것이 올웨더 전략의 기본입니다. 비중도 동일하게 배분하여 가져가면 된다.
사계절에 맞게 비중을 25%씩 배분하고 각 계절에서도 비중을 분산하여 자산배분율을 동일하게 맞추는 것입니다. 1. 경기가 좋은 계절 대비 (25%) 주식 : SPY 6.25% 회사채 : LQD 6.25% 신흥국 채권 : EMB 6.25% 원자재/금 : PDBC/GLD 6.25% 2. 경기가 안좋은 계절 대비 (25%) 미국 국채 : TLT 12.5% 물가연동채 : TIP 12.5% 3. 물가 상승 대비 (25%) 물가연동채 : TIP 8.33% 신흥국 채권 : EMB 8.33% 원자재/금 : PDBC 8.33% 4. 물가 하락 대비 (25%) 미국 주식 : SPY 12.5% 미국 국채 : TLT 12.5% 김성일 작가가 추천하는 한국형 올웨더 전략은 디음과 같다. 먼저 크게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에 50%씩 나누고 투자 대상을 세분화 한다.
위험 자산군 50% 1. 한국 주식 : TIGER 200 17.5% 2. 미국 주식 : TIGER 미국 S&P500 17.5% 3. 금 : KINDEX KRX 금현물 15% 안전 자산군 50% 1. 한국 국채 : KOSEF 국고채 10년 17.5% 2. 미국 국채 : TIGER 미국채 10년선물 17.5% 3. 현금성 자산 : CMA 15% 여기서 약간 변동한다면 본인은 현물 자산에 부동산을 추가하고 한국 주식과, 미국 주식은 ETF 보다는 퀀트 투자로 하는 것이다. 이 전략으로 백테스트를 해본다면 과연 결과가 어찌 나올려나? 미래에 정확히 되풀이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은 들지만 그래도 이런 식으로 주식 비중 포인트 투자를 하면은 자산 배분 전략 원래 보다는 더 높은 수익이 나올 가능성은 매우 높을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한국형 올웨더 전략이라면 언제든지 투자 시작이 가능합니다. 주식, 채권, 실물자산, 달러화의 콤비와 주식은 퀀트 투자 형태로 하고 현물투자는 본인이 더 땡기는 금을 하든 은을 하든 부동산을 하든~ 다 가능하십니다. 어차피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니까요~ 그리고 제대로 된 시스템을 구축했다면 다음은 시간투자와 관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