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국내 상장 해외리츠 ETF
부제 : 리츠가 아닌 부동산 주식 인컴투자는 이자, 배당, 자산매각에 따른 원금 환입 등 다양한 현금원천을 제공하는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컴 자산중에는 주식과 채권 같은 전통적 자산도 있지만 부동산, 커버드 콜과 같은 대안투자도 있습니다. 그중 글로벌 부동산에 투자하는 상품을 소개합니다.부동산(리츠)은 대표적 인컴투자 상품이지만 글로벌리츠, 특히 미국리츠는 인컴으로 단순하게 접근하면 안 됩니다. 미국 리츠는 시장규모가 큰 만큼 섹터별로 상이한 흐름을 보입니다. ETF로 분산투자하기 보다 섹터별 특징을 파악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https://blog.naver.com/plainvanilla_invest/222286003263https://blog.naver.com/plainvanilla_invest/222286004721(상)미국과 한국의 리츠 : 변동성장세의 피난처(?)
이번 포스팅은 미국과 한국의 리츠자산에 대한 성격을 보여드려고보자 합니다. 글이 길어지는 관계로 상편 ...
https://blog.naver.com/plainvanilla_invest/222286003263■ 미국리츠의 특징 미국리츠 중 시가총액이 가장 큰 상품은 1140억달러의 Prologis로 물류센터 리츠입니다. 2위는 통신타워인 American Tower로 843억달러, 3위는 데이터 센터인 Equinix(720억달러), 그 뒤를 물류센터인 PSA, 통신타워인 CCI가 있습니다. 해당 리츠의 특징은 대규모의 투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배당보다는 자산의 성장에 초점이 맞춰지며 경기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임대수익을 기반으로 한 배당에 집중하는 오피스와 주거리츠종목의 시가총액은 AvalonBay(주거) 약280억 달러, 오피스인 Boston Property 약110억 달러로 시장전체로 보면 비중이 크지 않습니다. 특정 종목군으로의 쏠림이 있어 국내 상장된 미국 및 글로벌 리츠 ETF는 일부 자산군의 편입을 제한하거나 반대로 부동산 관련 기업 주식도 투자할 수 있도록 편입자산 범위를 확대하여 운용됩니다.(하)미국과 한국의 리츠 : 변동성장세의 피난처(?)
상편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리츠를 활용하여 내리는 비를 피하는 대안투자에 대한 하편 글입니다. 글이 ...
https://blog.naver.com/plainvanilla_invest/222286004721■ 미국 리츠 ETF -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H), ACE 미국다우존스리츠(합성 H),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 KODEX와 ACE의 ETF는 리츠외 부동산 서비스 기업도 함께 투자합니다. 이를 통해 좀더 다양한 자산으로 투자가 가능하지만 물류, 타워, 테이터센터등 특정섹터로의 쏠림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TIGER ETF는 타워리츠를 배제하여 리츠내에서 섹터분산 합니다. 그럼에도 물류와 데이터 센터의 시가총액이 커 특정 종목으로의 쏠림은 KODEX와 ACE리츠보다 오히려 큽니다.■ 글로벌 리츠 ETF - 히어로즈 글로벌리츠이지스액티브, KBSTAR 글로벌데이터센터리츠나스닥(합성) 히어로즈 글로벌리츠이지스 액티브 ETF는 목재와 모기지, 타워 관련 리츠를 제외한 자산으로 운용됩니다. 글로벌 투자 상품이나 리츠시장에서 미국의 규모가 커 포트폴리오의 60%이상이 미국자산으로 추정됩니다. 미국외 자산은 유럽, 호주, 일본, 싱가포르, 홍콩(중국)등으로 분산되어 있습니다. KBSTAR 글로벌데이터센터 리츠 ETF는 이름처럼 데이터 센터에 집중투자하며 관련 인프라 시설인 통신타워와 기지국, 기술서비스 기업 등에도 투자합니다. 데이터 센터의 경우 AI, 클라우드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확대 등에 따른 수혜로 테크놀러지 섹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리츠인 동시에 IT주식으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Kelly Data Center & tech infrastructure지수의 구성종목은 동일 인덱스를 벤치마크로 하는 역외 ETF 포트폴리오입니다. )미국리츠가 한국에 비해 접근이 어려운 것은 시행 및 개발을 함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임대와 관련한 꾸준한 수익외 투자와 관련된 자금 입출입이 수시로 발생하고 자산수도 많습니다. 미국에 상장된 ETF 중에는 개발이 아닌, 임대에 주력하는 넷리스 리츠 ETF, 대출형 상품인 모기지등 세분화된 상품들이 있고 섹터를 불분하고 고배당리츠로 운용하는 ETF도 있습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헷지할 목적이라면 전략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는 아직 그렇지 못합니다. 전통적 리츠대비 변동성이 큰 대형리츠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대신 국내에는 싱가포르리츠와 일본리츠가 상장되어 있습니다. 연금계좌에서 미국 주식 헷지를 목적으로 해외 리츠를 투자한다면 미국리츠보다는 국내리츠 또는 미국외 지역 투자가 더 적합할 것으로 봅니다. ※ 특정 상품에 대한 추천이 아니며 인컴투자를 검토하는 분들을 위한 참고용 글입니다. ※ 연금에 대해 당사는 주식중심의 연금투자를 추천합니다. 인컴투자는 누적수익이 어느정도 확보되었거나 지급을 연금지급을 준비, 개시하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H) $ACE 미국다우존스리츠(합성 H)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 $히어로즈 글로벌리츠이지스액티브 $KBSTAR 글로벌데이터센터리츠나스닥(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