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파생
TSLA 월봉 RSI 고찰
제가 지난 글 말미에 '보조지표를 활용해 더 저점에서 사는 건 본인 능력'이라는 말을 남겼었습니다. (초록물고기님 글의 댓글에는 5개월 안에 월봉 RSI 30 도달이라고 남겼었구요) 각자 사용하시는(애용하시는) 보조지표가 다 다르겠지만, 오늘은 제가 사용하는 보조지표에 대한 얘기를 할까 합니다. 저는 크게 2가지만 유의미하게 봅니다. 월봉 MACD, 월봉 RSI 입니다. 제가 월봉을 보는 이유는 그 흔한 보조 지표 매매법들이 분봉, 일봉 심지어 주봉에서까지 Fake가 발생하는 이유가 (시간 단위가 더 넓은) 상위 봉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좀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고자 월봉에 더 큰 의미를 둡니다. 제가 국장을 할 때는 (지금은 TSLY 몰빵이라ㅎ MSTR은 인플레이션 헷지용) 월봉 MACD로 매매 타이밍을 잡았었습니다. 돈 잘버는 기업(ROE 15% 이상 등등)을 월봉 MACD 0선 넘기 직전에 싸게 매수하여 (혹은 MACD 0선 위에서 골든크로스 직전에) 2~6개월 안에 시세분출 할때 20~40% 정도 수익을 보고 나오는 스윙 투자자에 가까웠습니다. (성과는 2013년부터 CAGR 18% 수준) 그런데 TSLA 넘어와서는 MACD로는 저점 매매 타이밍 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국장에서는 대체로 돈 잘버는 기업이 중장기간 횡보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TSLA 같이 변동성이 큰 것에는 MACD로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봐야할 게 RSI라고 생각이 듭니다. 기업의 사업 실적도 중요하지만, TSLA 같이 전세계 투기판에 사용되는 종목은 인간 지표(매매심리)를 활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 입니다. 서론이 좀 길었는데, 제가 잘하는 데이터적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제가 왜 월봉 RSI가 5개월 안에 30에 도달할 것 같다고 얘기하는지... RSI 지표 관련해서는 검색하시면 정의 및 계산법, 매매법은 나와있으니... 용어 정의만 하고 사진 보겠습니다. AU: (Average UP) 직전 종가 대비 상승량들 합계 AD: (Average Down) 직전 종가 대비 하락량들 합계 RS는 AU/AD (보통 14봉 기준으로) RSI는 100-100/(1+RS)현재 RSI는 50.66 입니다. TSLA 주가가 하락후 바닥을 다지고 약간 반등을 했지만, 완전 대세 상승으로 접어들었다고 점치는 사람은 적습니다. 현재가 기준으로 약 5개월을 유지한다고 보면 월봉 RSI는 30.98에 도달하게 됩니다. (물론 TSLA가 다시 하락하면 더 짧은 시간에 도달하게 됩니다) 반대로 월봉 RSI가 50을 유지하려면 TSLA 주가가 어떻게 되어야 할까요? 첫 사진에서 보시듯 262$까지 올라야 되고, 현재가 대비 47%나 올라야 가능 합니다. 물론 오를수 있죠. 하지만 RSI 50에서 다시 70까지 추가 상승하기에는 매우 부담일 겁니다. (결국 RSI 30까지 가는데 도달 시간이 길어지는 효과 입니다.) 이 모든게 TSLA 대한 주가 예측 부분이긴 합니다. 다만 보조 지표를 잘 활용하면 거시적 관점에서 저점 매수 타이밍(시점)을 약간(?) 예측할 수는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저번달 배당금부터 현금 홀딩 중입니다. 약 3~5개월 정도 현금 홀딩 後 역대급 저점에서 TSLY 주식수를 더 늘릴까 합니다. 월 4% 배당 보다는 4% 하락에 사는게 주식수로 보나, 평단 비 배당률로 보나... 여러면에서 유리합니다. 물론 예측이 틀리면 '망' 입니다. 어디까지나 '투자의 판단은 본인 몫' 입니다. $TSLA $TSLY